반응형
<무릎관절, 슬관절 - knee joint> ; articulatio genus
무릎에 위치한 경첩관절로 3개의 마디가 하나로 만난다. 경골과 대퇴골을 잇는 과상관절, 슬개골과 대퇴골을 잇는 평면관절로 이루어진다. 슬관절과 인대는 굴곡, 신전, 내회전, 외회전이 가능하다. 염좌나 탈골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이다.

| 슬부 patellar(knee) region ; 슬관절 부위 | |
| 슬개골 | 슬와(오금) popliteal fossa |
| 전면에 돌출된 뼈 | 후면의 오목한 부위 |
- 무릎에 있는 연골판 (섬유연골판) → 내측반월, 외측반월
- 우선은 관절을 아껴써서 주사나 인공관절의 단계로 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통증의 원인(자세나 환경적 요인)을 교정하고, 무리한 운동은 피하며 충분히 휴식해야 한다.
트리암시놀론 → 스테로이드 주사 (뼈주사)
염증을 일시적으로 가라앉힌다.
부신피질호르몬으로 강력한 소염·진통 효과가 있다.
※ 스테로이드 가이드: 1년에 한두 번
· 히루안 플러스 주사 (연골주사) - 히알루론산
연골 성분과 비슷한 성분을 주입하여 무릎의 움직임의 원활함을 돕는다.
<6개월에 1번 (1~3회)>
※ 히알루론산 (연골 성분 중 하나, 연골 생성이 아닌 자동차 오일 같은 윤활유 역할)
연골 세포를 연결하거나 그 주변에 존재하는 기질 조직 중 하나이다.
물을 머금고 있어서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한다.
- 인공관절도 수명이 있기 때문에 항상 예방이 중요하다.
체중의 부담을 줄이는 운동으로는 자전거 타기와 수영이 있다.
<무릎 관절경 수술>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없는
초기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가 적응 대상이며
인공 관절 치환술 등의
시술 시기를 늦추는
제한적인 역할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