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양병원

<10일> core 근육, sputum, malleola

by 건강한 치유자 2025. 11. 3.
반응형


 

 

 

사실 정확한 라틴어 단어는

- 단수: malleolus (말레올루스)

- 복수: malleoli (말레올리)

그런데 병원 현장에서는 **‘말레올라(malleola)’**라고도 흔히 말하는데,

이건 라틴어나 영어 표현이 아니라 약간 변형된 의학적 구어체 또는 한글화된 형태임.

 

이유를 정리하면

1. 발음 편의성

   ‘말레올루스(malleolus)’는 발음이 길고 어색해서 의사·간호사·기사 등 현장에서 빠르게 말할 때

   ‘말레올라’로 줄여 쓰는 경우가 많다.

    예: “Rt. malleola fx” → “오른쪽 말레올라 골절”

2. 우리나라 의학용어의 관행

    국내 의료현장에서는 영어 또는 라틴어 단어의 끝에 오는 -us, -um, -is 등을 발음하기 쉽게 ‘-a’로 바꾸는 관습이 꽤 있음.

    예를 들어: radius → ‘라디우스’ 또는 ‘라디아’

                    tarsus → ‘타르수스’ → ‘타르사’

                    malleolus → ‘말레올루스’ → ‘말레올라’ 이런 식으로 실제 대화나 인계, 차트에서 많이 쓰임.

3. 의미 차이는 없음

   ‘말레올라’든 ‘말레올루스’든 같은 부위를 의미한다.

    단, 공식 의학 문서나 논문에서는 malleolus를 쓰는 것이 정확하다.

 

 

결론부터 말하면

malleolus는 ankle bone(발목뼈)의 일부분을 말함.

즉, 완전히 같은 뜻은 아니고, malleolus가 ankle bone 안에 포함된 개념임.

<구체적으로 구분해보면>

Ankle bone (발목뼈)

발목을 이루는 전체 뼈 구조

경골(tibia), 비골(fibula), 거골(talus) 등이 함께 관절을 이룸

Malleolus (복사뼈)

발목 양옆에 튀어나온 돌출된 부분

내측 복사뼈(medial malleolus, 경골 끝부분) / 외측 복사뼈(lateral malleolus, 비골 끝부분)

 

<쉽게 비유하자면>

발목뼈(ankle bone)”는 전체 발목 구조

말레올루스(malleolus)”는 그중 겉으로 만져지는 돌출된 뼈 부분

그래서 X-ray 판독이나 인계에서는 보통

“Rt. malleolus fracture” → 발목 양옆 돌출부(복사뼈) 골절을 말하고,

“ankle fracture” → 발목 관절 전체 또는 그 주변 여러 뼈(거골, 경골, 비골 등)가 포함된 골절일 수 있음.

반응형

'요양병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일> Intertrigo, heart rate, pulse rate  (0) 2025.11.03
<11일> 항전간제, 뇌전증, 간질과 발작  (0) 2025.11.03
<9일> L-tube  (0) 2025.11.01
<9일> 정상 소변량, EMR, GI, 대변 색  (0) 2025.10.31
<요양병원 8일차>  (0) 2025.10.29